[전문가진단]위기의 K배터리 해법은中 > 기타문의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고객지원 기타문의
  • 기타문의

    [전문가진단]위기의 K배터리 해법은中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23 07:33

    본문

    [전문가진단]위기의 K배터리 해법은中이 완전히 잠식한 글로벌 배터리 시장"中, 정부 차원 올인…전고체도 더 앞서""유럽 등 해외 나오는 中…韓 위기 점증""韓 특단 대책 필요…컨트롤타워 세워야"[이데일리 김정남 조민정 기자] “기술, 인력, 자금 모두 중국에 밀리고 있습니다. 뾰족한 수가 없는 게 냉정한 현실입니다.”중국 배터리가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글로벌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미국의 각종 제재에도 중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 데 이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까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K배터리가 중국과 맞설 대책을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는 위기설까지 나오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가 국가전략산업인 배터리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이데일리는 22일 위기의 K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해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황경인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등 전문가들을 긴급 인터뷰했다.“中, 정부 차원서 배터리 투자 올인”중국의 배터리 굴기 현상은 뚜렷한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CATL(38.3%)과 중국 BYD(16.7%)는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 CALB (3.9%), 고션(3.5%)까지 더하면 중국 배터리 점유율이 62.4%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10.7%), SK온(4.7%), 삼성SDI(3.3%) 등 K배터리 3사의 경우 18.7%에 그쳤다. 배터리 소재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배터리 음극재 출하량 톱10은 모두 중국 업체들이었다. 한국은 포스코퓨처엠 정도만 11위에 이름을 올렸다.(그래픽=김일환 기자)그렇다면 중국 배터리 굴기의 근원적인 힘은 무엇일까.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이 첫손에 꼽힌다. 김필수 교수는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보조금을 주면서 ‘올인’을 하고 있다”며 “투입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주니 기업들은 팔기만 하면 되는 구조”라고 했다. 이호근 교수는 “중국은 막대한 자금력과 인력을 등에 업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면서 기술력으로 압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이 주도하는 LFP 배터리는 한때 싸구려 취급을 받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소비자들이 중저가형 전기차를 선호하면서 이에 탑재되는 LFP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황경인 부연구위원은 “배터리 경쟁 양상이 성능에서 가격 경쟁으로 전환됐다”고 했다. 니켈·코발트·망간(NCM) 기반 삼원계 배터리에 주력하다 뒤늦게 LFP 배터리에 뛰어든 한국의 점유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이[전문가진단]위기의 K배터리 해법은中이 완전히 잠식한 글로벌 배터리 시장"中, 정부 차원 올인…전고체도 더 앞서""유럽 등 해외 나오는 中…韓 위기 점증""韓 특단 대책 필요…컨트롤타워 세워야"[이데일리 김정남 조민정 기자] “기술, 인력, 자금 모두 중국에 밀리고 있습니다. 뾰족한 수가 없는 게 냉정한 현실입니다.”중국 배터리가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글로벌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미국의 각종 제재에도 중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 데 이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까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K배터리가 중국과 맞설 대책을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는 위기설까지 나오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가 국가전략산업인 배터리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이데일리는 22일 위기의 K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해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황경인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등 전문가들을 긴급 인터뷰했다.“中, 정부 차원서 배터리 투자 올인”중국의 배터리 굴기 현상은 뚜렷한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CATL(38.3%)과 중국 BYD(16.7%)는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 CALB (3.9%), 고션(3.5%)까지 더하면 중국 배터리 점유율이 62.4%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10.7%), SK온(4.7%), 삼성SDI(3.3%) 등 K배터리 3사의 경우 18.7%에 그쳤다. 배터리 소재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배터리 음극재 출하량 톱10은 모두 중국 업체들이었다. 한국은 포스코퓨처엠 정도만 11위에 이름을 올렸다.(그래픽=김일환 기자)그렇다면 중국 배터리 굴기의 근원적인 힘은 무엇일까.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이 첫손에 꼽힌다. 김필수 교수는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보조금을 주면서 ‘올인’을 하고 있다”며 “투입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주니 기업들은 팔기만 하면 되는 구조”라고 했다. 이호근 교수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한야대표이사 : 신성용사업자등록번호 : 306-81-24189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84TEL : 042-933-0808FAX : 042-933-0809
ⓒ 주식회사 한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