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 기타문의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고객지원 기타문의
  • 기타문의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6 15:30

    본문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2미사일방어여단 8979부대 장병들이 지난 23일 중거리지대공미사일 천궁 전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군 [서울경제] “현 시각, 적기 수도권으로 날아오는 징후 포착, 비상! 비상!”비상벨이 울리고 오산에 있는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aster Control and Report Center·MCRC)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적 지역에서 수도권 상공을 향해 미상의 적기가 빠르게 날아오는 것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적 항공기 전개 방향과 전개 대수 등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판단하고 경기도 북부 영공을 방어하는 방공포대인 공군 제8979부대를 지휘하는 대대 작전통제소(ICC)로 즉각 전투 대기 돌입 지시를 하달한다. 곧이어 대대 작전통제소는 제8979부대 교전통제소(ECS)에 전투 대기 돌입을 지시한다. “(대대 작전통제소) 00시 00분 ○○에 의한 전투 대기 돌입!”이에 전투 대기 돌입을 지시받은 제8979부대 교전통제소는 지시 내용을 복명복창하고 전투 대기에 돌입한다. “(교전통제소) 00시 00분 ○○에 의한 전투 대기 돌입!”전투 대기 돌입 지시 즉시 사거리 40㎞에 달하는 중거리지대공미사일(M-SAM) ‘천궁’ 발사대를 운용하는 작전조원 3명은 비상대기실 문을 박차고 나와 100여 m 떨어진 발사대를 향해 전속력으로 뛰어가 발사대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작전요원) 발사대 유도탄 케이블 연결 확인!”. 천궁 발사대에 전원이 공급되고 누워 있던 발사대가 신속하게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직립하기 시작한다. 1분여 정도 걸렸다.이후 작전조원들은 발사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발사대 직립을 마치고 모든 준비가 끝나면 교전통제소로 완료를 보고한다. “(작전요원) 발사대 최종 무장 완료! 원격 준비 끝!”.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2미사일방어여단 8979부대 장병들이 지난 23일 중거리지대공미사일 천궁 전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군 보고를 받은 교전통제소는 “(교전통제소) 원격!”을 선언하고 작전조원들은 서둘러 안전지대로 이동한다. 교전통제 [서울=뉴시스] 24일(현지 시각) CNN에 따르면 상파울루대 동물학 박물관의 앤더슨 레페코 박사 연구팀은 이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를 통해 공룡이 있던 약 1억1300만년 전에 살았던 종인 '지옥개미'의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앤더슨 래페코 연구팀 제공) 20205.04.25.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최현호 이소원 인턴 기자 = 브라질의 한 박물관에서 역대 가장 오래된 고대 개미 종의 화석이 발견됐다.24일(현지 시각) CNN에 따르면 상파울루대 동물학 박물관의 앤더슨 레페코 박사 연구팀은 이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를 통해 공룡이 있던 약 1억1300만년 전에 살았던 종인 '지옥개미'의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지금까지 발견된 개미 화석보다 수천년은 더 오래된 것이다.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화석 곤충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는데, 여기엔 화석 보존 상태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유명한 브라질 북동부 크라토 지층(Crato Formation)에서 채취한 표본이 포함돼 있다. 이번 지옥개미 화석은 여기서 발견된 것이다.앞서 백악기 시대의 다른 지옥개미들은 프랑스와 미얀마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 보존된 채로 발견된 바 있다.지옥개미는 하이도미르메키나에(Haidomyrmecinae)라고도 불리며, 개미의 아과(subfamiliy)에 속한다. 지옥개미는 백악기(약 6600~45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오늘날 살아 있는 개미들과는 어떤 관련도 없다.이번에 발견된 지옥개미 종에는 '불카니드리스 크라텐시스'(Vulcanidris cratensis)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먹이를 고정하거나 꿰뚫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낫처럼 생긴 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특히 현재의 개미는 턱이 좌우로 움직이며 먹이를 잡지만, 이 개미는 머리와 평행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된 낫처럼 생긴 턱을 가지고 있었다고 연구진은 논문에서 언급했다.레페코 박사는 "이건 일종의 지게차처럼 위로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작동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이 복잡한 형태는 초기 개미들조차도 현대 개미와는 상당히 다른 정교한 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한야대표이사 : 신성용사업자등록번호 : 306-81-24189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84TEL : 042-933-0808FAX : 042-933-0809
ⓒ 주식회사 한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