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적으로 늘릴 생각 없어"…'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4-21 16:27본문
"순종적으로 늘릴 생각 없어"…'저
"순종적으로 늘릴 생각 없어"…'저자세 논란' 각료 "최대한 경의 표한 것" 해명국회 출석한 이시바 일본 총리(도쿄 AFP=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1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답변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미일 관세 협상에서 관세와 방위비를 연계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압박에 맞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거듭 자국의 방위비 부담 상황을 강조했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21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주일미군 주둔 경비 중 일본 측 비용에 대해 "매우 많이 부담하고 있다"며 "'유유낙낙'(명령하는 대로 순종함)이라고 들을 정도로 부담을 늘릴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관세 협상과 안전보장 문제는 따로 논의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또다시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18일에도 주일미군 주둔 경비와 관련해 "일본과 미국 정부 합의에 따라 적절히 분담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만난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에게 일본이 부담하는 주일미군 주둔 경비가 너무 적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주일미군 주둔 경비를 '배려 예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담하며,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에는 2천274억엔(약 2조3천억원)을 책정했다. 양국 협정은 2027년 3월 종료될 예정이어서 내년까지는 사실상 새 합의점을 도출해야 한다. 이시바 총리는 관세 협상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체결했던 미일 무역협정 내용과 배치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중대한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일본은 농산물 분야를 양보하는 대신 자동차 추가 관세를 피했다.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관세 협상에서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한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처음부터 나오는 것은 본 적이 없다"며 "생각했던 것을 상당히 뛰어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과 협의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으로 (결과를) 결정할 것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관세 협상 당시 방위성과 농림수산성 관계자가 미국행에 동행하지 않았다는 제1야당 입헌민주당 도쿠나가 에리 의원의 지적에 대해 "각론으로 논의가 미칠 것을 생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과) 양호한 관계로 협의를 이어가는 것이 세계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세계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염두에 두고 협상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순종적으로 늘릴 생각 없어"…'저자세 논란' 각료 "최대한 경의 표한 것" 해명국회 출석한 이시바 일본 총리(도쿄 AFP=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1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답변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미일 관세 협상에서 관세와 방위비를 연계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압박에 맞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거듭 자국의 방위비 부담 상황을 강조했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21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주일미군 주둔 경비 중 일본 측 비용에 대해 "매우 많이 부담하고 있다"며 "'유유낙낙'(명령하는 대로 순종함)이라고 들을 정도로 부담을 늘릴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관세 협상과 안전보장 문제는 따로 논의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또다시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18일에도 주일미군 주둔 경비와 관련해 "일본과 미국 정부 합의에 따라 적절히 분담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만난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에게 일본이 부담하는 주일미군 주둔 경비가 너무 적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주일미군 주둔 경비를 '배려 예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담하며,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에는 2천274억엔(약 2조3천억원)을 책정했다. 양국 협정은 2027년 3월 종료될 예정이어서 내년까지는 사실상 새 합의점을 도출해야 한다. 이시바 총리는 관세 협상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체결했던 미일 무역협정 내용과 배치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중대한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일본은 농산물 분야를 양보하는 대신 자동차 추가 관세를 피했다.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관세 협상에서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한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처음부터 나오는 것은 본 적이 없다"며 "생각했던 것을 상당히 뛰어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과 협의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으로 (결과를) 결정할 것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관세 협상 당시 방위성과 농림수산성 관계자가 미국행에 동행하지 않았다는 제1
"순종적으로 늘릴 생각 없어"…'저
- 이전글온라인 하나약국, 신뢰할 수 있을까? 25.04.21
- 다음글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치료제는 아연? - 러시아 직구 우라몰 ulaG9.top 25.04.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